태양광선 중 약 2% 정도를 차지하고, 200-400nm의 짧은 파장의 광선을 자외선이라 합니다. 눈에 보이지 않는 복사선(輻射線)으로 화학 작용이 강하고 햇빛에 타거나 변색의 원인이 되는 빛으로, 자외선 A(UVA, 320-400nm), 자외선 B(UVB, 290-320nm), 자외선 C(UVC, 200-280nm)로 구분됩니다.
* 자외선의 종류 - 자외선 A(UVA, 320-400nm) 생활자외선이라 불리는 자외선 A는 파장이 길어 피부의 깊은 내부인 진피까지 침투 할 수 있어 피부탄력성을 유지해 주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감소시켜 피부 노화를 가져옵니다. 또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일으켜 기미와 주근깨를 만드는 주범이기도 합니다. - 자외선 B(UVB, 290-320nm) 자외선 B는 레저 자외선이라고 불리며 바닷가, 스키장 등에서 접하기 쉬우며, 장시간 노출 시 피부가 빨갛게 익게 되는 피부 화상을 일으키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가 자외선 B의 양이 가장 많습니다. - 자외선 C(UVC, 200-280nm) 자외선 C는 세포와 세균을 파괴하는 힘이 강한 자외선으로, 대부분 오존층에서 흡수 되어 지표면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나 최근 오존층의 파괴로 인해 지표면에 도달하면서 피부암 발생의 원인 이 되고 있습니다. |
유익한 효과 |
유해한 효과 |
- 비타민 D 합성(자외선 B) · 10-15분 정도 햇볕 노출 시 충분한 양의 비타민 D 합성 가능 - 살균효과(자외선 C) · 칫솔, 음용수 컵 소독 등에 이용 - 피부질환 치료(자외선 A, B) · 건선, 백반증, 아토피피부염 치료에 이용 |
- 일광 화상 - 광과민질환(피부염증, 두드러기 등 피부과민반응) - 피부노화 - 피부색소 증가, 기미 및 잡티, 검버섯 형성 - 피부암 - 피부 면역기능 저하 - 백내장 등 |
가장 원칙적이고 기본적 방법은 햇빛 노출을 피하는 것입니다. 피부 노화에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이 자외선이므로
피부만을 생각한다면 피하는 것이 최선입니다. 외출 시 소매가 긴 의복, 양산, 챙이 큰 모자, 선글라스 등을 보조적인
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, 반드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도록 합니다.
<자외선 차단제>
- 자외선 양이 가장 높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사이에는 되도록 실내에서 생활하도록 하며, 부득이하게 외출해야
할 때에는 반드시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줍니다.
- 자외선 A, B를 모두 차단하는 차단제를 선택합니다.
‧일상생활을 하는 경우: SPF 10-20, PA +
‧야외 활동이 많은 경우: SPF 30 내외, PA ++
‧스키장이나 골프장, 해변가 등에서 활동하는 경우: SPF 50 내외, PA ++, +++
- 외출하기 15-30분 전에 햇볕에 노출되는 모든 피부(얼굴, 목, 팔 등)에 충분히 발라줍니다.
‧일반적인 야외 활동 시에는 2-3시간 간격으로 다시 바르도록 하고, 해수욕장의 물놀이라면 30분 정도마다, 등산을
하면서 땀을 흘린다면 1시간 정도마다 발라줍니다.
SPF 는 Sun protect factor의 약자로 자외선 B 차단 지수를 지칭하며, 뒤에 붙는 숫자가 클수록 자외선 차단효과 PA 는 Protection Factor for UVA의 약자로 자외선 A가 피부 노화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규명된 이후부터 일반적으로 SPF가 높은 제품은 어느 정도 PA지수도 가지고 있으며 SPF 30, PA ++ 정도의 제품이 추천되고 시중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