협회소식
2030세대 젊은 당뇨 증가, 정기적 혈당 체크 등 능동적 관리 필요
- 등록일시 : 2025-11-14
- 39
- 전북지부
- 파일 :
-
- 첨부파일이 없습니다.
2030세대 젊은 당뇨 증가, 정기적 혈당 체크 등 능동적 관리 필요

- 10년 새 2030 당뇨병 79.8% 증가, 가족력·비만 등 고위험군은 상시 관리 필수
매년 11월 14일은 세계보건기구(WHO)와 국제당뇨병연맹(IDF)가 당뇨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, 조기 진단 및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제정한 ‘세계 당뇨병의 날’이다.
국내 당뇨병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.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전체 연령대당 10년 새 32.1%(2014년 8,650천명 → 2024년 11,435천명) 증가했다. 20~30대 젊은 층 환자 수는 같은 기간 8만 7,273명에서 15만 6,942명으로 79.8% 증가해 전체 평균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. 젊은 층에서 만성질환이 조기에 발생할 경우 평생의 관리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.
KH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검진센터(전북지부) 백영하과장은 “당뇨병은 위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 적극적으로 관리하면 충분히 통제 가능하지만, 방치하면 평생 고통을 안겨주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”며 “특히 젊은 층은 증상 인지가 낮고 건강검진 수검률이 낮아 진단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생활 속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
- 젊은 당뇨병 증가세 가파름… 비만율 상승과 관리 미흡 등 원인
당뇨병 증가의 원인은 불규칙한 식습관, 운동 부족, 과도한 스트레스, 수면 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증가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. 20~30대 당뇨병 유병률 증가 역시 이러한 요인들과 무관하지 않다. 실제로 20~30대의 경우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비만 유병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.‘2023년 국민건강통계’에 따르면 2014년 19~29세 비만율은 23.9%였으나 2023년에는 33.6%로 상승했다. 30~39세 역시 31.8%에서 39.8%로 증가해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.
젊은 층 당뇨병의 또 다른 문제는 질환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거나, 심각성을 가볍게 여겨 체계적인 관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. 이는 낮은 건강검진 수검률에서도 확인된다. 한국건강관리협회의 2024년 통계에 따르면 전체 내원자 557만 2,548명 중 20대와 30대는 18.7%를 차지하는 데 그쳤다.
당뇨병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. 갈증, 피로감, 다뇨 등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되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쉬워, 병이 상당히 진행된 뒤에 발견되는 사례가 많다. 이 경우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고 합병증 위험도 빠르게 높아질 수 있다. 고혈당 상태는 전신 혈관을 손상시키며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한다. 망막, 신장 그리고 신경의 손상을 유발하는 미세혈관 합병증은 물론,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대혈관 합병증의 위험도가 크게 증가한다.
- 능동적 관리로 평생 건강 확보… 정기적 혈당 측정 필수
젊은 시기에 비만이나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 위험 요인을 관리하지 않으면 당뇨병에 더 빨리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. 발병 시기가 이르면 평생 관리 기간이 길어져 그만큼 합병증 발생 위험도 증가한다.
기본적인 건강검진과 혈압·혈당 측정만으로도 위험 요인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으며, 최근에는 연속혈당측정기(CGMS)가 보급되어 음식이나 활동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. 또한, 규칙적인 혈당 측정은 자신의 생활습관 패턴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.
KH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검진센터(전북지부) 백영하과장은 “당뇨병 가족력이 있거나 비만 등 고위험군이라면 정기적 검진으로 위험요인을 찾아내고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한다”며 “정기적인 혈당 측정만으로도 당뇨병 조기 진단률이 높아진다. 이것이 가장 확실한 당뇨병의 치료 방법이다”라고 강조했다
2025.11.14. 배포